평생 관리하기 24

자궁내막증, 너무 심한 환자에게 필요한 것

1. 자궁내막을 얇게 만들어주는 약호르몬제 (경구 피임약, 프로게스틴제 등)경구 피임약 (복합경구피임제):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포함되어 배란 억제 및 자궁내막 성장을 억제해 자궁내막을 얇게 유지합니다.프로게스틴 단독제 (예: 디프로게스테론, 미레나 루프): 프로게스테론 성분이 자궁내막을 얇게 하여 증식 억제.GnRH 작용제: 뇌하수체에서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해 자궁내막이 위축되도록 유도. (단, 장기 사용 시 부작용 주의)예시 약물미레나(Levonorgestrel 호르몬 루프)디에노게스트 (Dienogest): 자궁내막증 치료제로 자궁내막 얇게 만듦GnRH 작용제 (예: 나세렐렉스, 트리플렉신)2. 자궁내막 얇게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성분/식품오메가-3 지방산염증 완화 효과가 있어 자궁내막증..

치료로 쓰는 호르몬약 괜찮을까?

호르몬 약(예: 피임약, 호르몬 주사, 자궁 내 호르몬 장치 등)으로 의도적으로 배란·생리를 억제하면, 몸 안에서는 꽤 흥미로운 변화들이 일어나요.한번 호르몬 대사, 자궁·난소의 반응, 그리고 전신 영향까지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!🧬 1️⃣ 기본 개념: 생리를 안 하는 이유생리는 자궁내막이 주기적으로 두꺼워졌다가 떨어져 나오는 과정배란이 없으면 → 황체가 안 만들어짐 → 프로게스테론 부족호르몬 약·주사로 외부 호르몬(에스트로겐+프로게스테론)을 일정하게 공급 → 뇌가 "난 이미 충분한 호르몬 있어"라고 인식→ FSH·LH 분비 억제 → 난포 성장·배란 억제 → 자궁내막 변화 없음 → 생리 안 함⚙ 2️⃣ 몸에서 일어나는 반응 (조금 더 깊이)단계몸의 변화왜 이런 반응?뇌하수체GnRH → FSH·..

최종적으로 지방분해 대사과정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.

조금 깊이 들어가서 리폴리시스(lipolysis, 지방분해) 대사 과정을 설명하고,리폴리시스를 활성화하는 생활습관·식품·호르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드릴게요.🧬 1️⃣ 리폴리시스(lipolysis) 대사 과정리폴리시스는 지방세포(지방조직, adipose tissue)에 저장된 중성지방(TG, triglyceride)을 분해하여글리세롤 + 유리지방산(FFA, free fatty acids) 으로 만드는 과정이에요.대략적인 단계:호르몬 신호 → β-아드레날린 수용체 자극cAMP 증가 → 단백질 키나아제 A (PKA) 활성화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(HSL), ATGL(adipose triglyceride lipase) 활성화TG → DG → MG → 유리지방산 + 글리세롤 분리유리지방산은 혈액으로 → 간·근육 등..

인슐린 저하를 촉진하는 글루카곤

글루카곤이 많이 분비되면 체지방 분해가 촉진되어 살이 빠질 수 있어요.그런데 여기엔 전제 조건과 몸의 상황이 중요합니다.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드릴게요!✅ 글루카곤이란?췌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(알파세포)주 역할: 혈당을 올리는 것 (인슐린의 반대 작용)기전:간에서 글리코겐 분해 → 포도당 방출지방조직에서 지방 분해(리폴리시스) 촉진 → 지방산 에너지 사용🔥 글루카곤 분비가 많아지면 왜 살이 빠질까?글루카곤은 인슐린과 반대로 작용:인슐린: 저장·축적 호르몬 (혈당 ↓, 지방 합성↑)글루카곤: 분해·방출 호르몬 (혈당 ↑, 지방 분해↑)글루카곤↑ → 간에서 포도당 생성↑ + 지방 분해↑이렇게 체내 저장 에너지(특히 지방)를 더 쓰게 되어 체중 감소에 기여 가능🧬 중요한 점: “많이” 분비된다는 의미병..

프로락틴은 어떤 호르몬일까?

🧬 ✅ 프로락틴 (Prolactin) 이란?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이에요.이름 그대로 Pro-lactin → 가장 대표적인 기능은 ‘유즙 분비 촉진(젖 분비)’ 입니다.🌸 📌 주요 기능기능설명🍼 유즙 분비출산 후 모유 생성·분비를 자극🧠 생식 억제혈중 농도가 높으면 GnRH 분비를 억제 → LH·FSH 분비 감소 → 배란 억제🦴 기타면역 조절, 기분·행동에 관여, 일부 대사 조절 🌿 ✅ 정상 수치 (혈액검사 기준, 성인 여성)보통 5~20 ng/mL 정도 (검사실 기준 조금씩 다름)출산 직후나 수유기에는 100 ng/mL 이상 크게 상승 → 모유 분비 유도⚠️ ✅ 프로락틴이 너무 높으면? (고프로락틴혈증, hyperprolactinemia)원인결과·증상뇌하수체 종양(프로락틴 ..